CONVERSATIONS

CONVERSATIONS

동시대 미술의 흐름을 읽는 예술 담론의 장

컨버세이션스는 아트부산이 매해 선보이는 예술 담론 프로그램으로, 동시대 미술의 흐름과 주요 이슈를 다각도로 조망하는 대화의 장입니다. 2025년에는 라인문화재단, 부산시립미술관, 오아르미술관, 도쿄 겐다이, 개러지 현대미술관, 홍콩 서퍼클럽 등 국내외 주요 기관과의 협업 아래, 큐레이터, 작가, 컬렉터 등이 참여해 정체성, 장소성, 협업의 지형 등 동시대 미술의 핵심 쟁점과 함께, 변화하는 글로벌 미술 지형 속 아시아 아트신의 역할과 시장, 제도 간 협업의 가능성을 조명합니다.

CONVERSATIONS is Art Busan’s annual discourse program that explores the currents and key issues of contemporary art from multiple perspectives. The 2025 edition features eight sessions developed in collaboration with major institutions including the Line Cultural Foundation, Busan Museum of Art, OAR Museum, Tokyo Gendai, Garage Museum of Contemporary Art, and Supper Club Hong Kong. Curators, artists, and collectors will discuss themes such as identity, site-specificity, and models of collaboration, while also examining the role, influence, and institutional potential of the Asian art scene in a shifting global landscape.

5.9(Fri) 11:30-12:30

유현준 건축가, 에가미 에츠

모더레이터: 김건희 오아르미술관 부관장

Hyunjoon Yoo Architect, Etsu Egami

Moderator: Kuenhee Kim, Deputy-Director, OAR Contemporary Art Museum

공간은 예술을 담는 그릇일 뿐일까, 아니면 예술과 함께 반응하며 새로운 의미를 만들어내는 존재일까? 이번 세션에는 지난 4월 경주에 새로 개관한 전시 공간을 매개로 협업한 작가 에가미 에츠와 건축가 유현준이 함께한다. 김건희 오아르미술관 부관장의 진행 아래, 두 연사는 장소특정적 공간에서의 예술 실천, 창작과 설계의 교차점, 그리고 건축과 예술이 서로에게 감응하는 과정을 이야기한다.

Is space merely a vessel for art, or can it engage with it—shaping new meaning in the process? In this session, artist Etsu Egami and architect Hyunjoon Yoo reflect on their recent collaboration at a newly opened exhibition space in Gyeongju. Moderated by Gunhee Kim, Deputy Director of OAR Contemporary Art Museum, the conversation delves into site-specific practice, the intersection of creation and design, and the reciprocal resonance between art and architecture.

5.9(Fri) 13:30-14:30

권도연, 김상돈, 김옥선, 알렉산더 우가이

모더레이터: 고원석 라인문화재단 디렉터

Doyeon Gwon, Sangdon Kim, Oksun Kim, Alexander Ugay

Moderator: Wonseok Koh, Director, Line Cultural Foundation

오늘날 우리가 살아가는 세계는 ‘경계’라는 개념을 통해 분절되고 규정되지만, 그 경계는 고정되거나 단일하지 않다. 이번 세션은 아트부산 2025 커넥트 특별전 〈조각난 세계, 살아있는 것들〉의 참여 작가 권도연, 김상돈, 김옥선, 알렉산더 우가이와 전시를 기획한 고원석 디렉터가 함께한다. 작가들은 현실의 구획이 만들어내는 긴장과 균열, 그리고 그 사이에 놓인 존재의 감각에 주목하며, 이주와 정체성, 장소성과 기억 같은 주제를 바탕으로 동시대 미술이 경계를 어떻게 감각하고 사유하는지를 이야기한다.

"Art moves across boundaries—and makes them tremble." As part of Fragmented World, Living Entities, artists Doyeon Gwon, Sangdon Kim, Oksun Kim, and Alexander Ugay join curator Wonseok Koh in conversation. Together, they reflect on how contemporary art perceives and rethinks boundaries through themes of migration, identity, memory, and place.

5.9(Fri) 15:00-16:00

에카테리나 사브첸코, 개러지 현대미술관 객원 큐레이터

모더레이터 : 글래디스 린, 글래디스 린 프로젝트 설립자

Ekaterina Savchenko, Guest Curator, Garage Museum of Contemporary Art

Moderator: Gladys Lin, Founder, Gladys Lin Project

오늘날 동시대 미술을 큐레이팅한다는 것의 의미를 넘어, 전시를 통해 장소와 시간, 관객과 맥락에 응답하는 이야기를 어떻게 구축하는지에 대해 논의한다. 본 세션은 러시아 미술계에서 개러지 뮤지엄의 컬렉션, 프로그램과 전시를 통해 담아내고자 하는 이야기와 미술기관으로서의 역할을 다룬다. 또 아시아, 미국, 인도 등지의 국제 미술계에서 쌓아온 독립 큐레이터의 시각에서 다층적인 글로벌 예술 생태계 속에서 기관과 독립 주체는 어떤 방식으로 연결되고 또 변화하고 있는지에 대한 인사이트를 공유한다.

What does it mean to curate with perspective in today’s global art context? From institutional collections to independently curated projects, the dialogue will explore how contemporary art becomes a site of narrative — a space to reflect, reframe, and reconnect with time, place, and public. Drawing on their experiences across Russia, Asia, and beyond, the speakers will share insights into the evolving role of the curator and how perspective shapes meaning in the art world today.

5.9(Fri) 16:30-17:30

샬롯 크나웁, 베를린 현대미술관 큐레이터

김석모 박사 / 미술사학자

Charlotte Knaup, Curator, Hamburger Bahnhof

Sukmo Kim: PhD, Art Historian

독일 베를린현대미술관(Hamburger Bahnhof)은 아시아 현대미술에 대한 관심과 협업을 지속해 온 글로벌 미술관이다. 본 세션은 베를린 현대미술관에서 한국 작가의 전시를 담당한 큐레이터가 참여해, 아시아 작가와의 협업 방식, 제도적 접근 전략, 그리고 변화하는 아시아 미술 지형 속에서 미술관이 수행하는 역할을 공유한다. 또한, 글로벌 미술 담론 안에서 아시아 작가의 위상, 시장의 영향, 제도 간 협업의 가능성에 대해서도 논의한다.

Hamburger Bahnhof (Berlin) have been steadily expanding their engagement with Asian contemporary art. This session brings together the curator from one of the most established museums in Europe to discuss institutional approach within the art world, collaborations with artists from Asia, and the evolving landscape of Asian art in global discourse. The conversation will reflect on how museums navigate cultural narratives across regions, and how current market and institutional dynamics are shaping the visibility and trajectories of Asian artists.

5.10(Sat) 11:30-12:30

에리 다카네, 도쿄 겐다이 디렉터|정석호, 아트부산 디렉터

윌렘 몰스워스, 서퍼 클럽 & PHD Group 공동설립자|파비앙 파코리, 컬렉터, 주중프랑스상공회의소 부회장

모더레이터: 비비안 차우 아트넷 런던 특파원, 아시아 피봇 공동설립자

Eri Takane, Director, Tokyo Gendai|Seokho Jeong, Director, Art Busan

Willem Molesworth, Co-Founder, Supper Club & PHD Group|Fabien Pacory, Collector, Executive Vice President at CCI France Chine

Moderator: Vivienne Chow, London Correspondent and co-founder of The Asia Pivot, Artnet

아시아 미술 신은 점차 더 긴밀히 연결되며, 제도, 갤러리, 컬렉터, 문화 플랫폼 간 새로운 관계의 지형을 형성하고 있다. 이번 세션에서는 도쿄 겐다이의 에리 타카네 디렉터, 홍콩 서퍼클럽과 PHD 그룹의 공동설립자 윌렘 몰스워스, 아트부산의 정석호 디렉터, 그리고 주중프랑스상공회의소 부회장이자 컬렉터인 파비앙 파코리가 패널로 참여한다. 아트넷 런던 특파원이자 The Asia Pivot 공동설립자인 비비안 차우가 모더레이터를 맡는다. 각기 다른 위치에서 아시아 미술 생태계를 만들어온 이들이 한자리에 모여, 제도적 협력과 시장 흐름, 그리고 문화적 전략에 대해 논의한다.

As the Asian art scene becomes increasingly interconnected, new dynamics are forming between institutions, galleries, collectors, and cultural platforms.
This session brings together Eri Takane (Director, Tokyo Gendai), Willem Molesworth (Co-Founder, Supper Club & PHD Group), Seokho Jeong (Director, Art Busan), and Fabien Pacory (Collector; EVP, CCI France Chine), moderated by Vivienne Chow (London Correspondent, Artnet; Co-founder, The Asia Pivot). Together, they will explore institutional collaborations, evolving market strategies, and the cultural forces shaping the region’s art ecosystem.

5.10(Sat) 14:00-15:00

리이 LY

모더레이터: 정종효 부산시립미술관 학예실장

Moderator: Jonghyo Cheong, Senior Curator, Busan Museum of Art

현대 일본 미술계에서 주목받는 작가 LY(리이)는 스트리트 아트와 순수미술의 경계를 넘나들며 독자적인 예술 세계를 구축해왔다. 아트부산 참여와 함께 한국 첫 개인전 Singing Birds를 기념해 열리는 이번 세션에서는, 부산시립미술관 정종효 학예실장과 함께 대표 캐릭터 LUV를 중심으로 작가의 시각 언어를 살펴본다. 단순하고 무표정한 LUV는 감정과 공허, 주체와 타자의 긴장을 시각화하며, 관람객의 감정 투사와 해석을 유도한다. LY의 작업은 슈퍼플랫 미학에 뿌리를 두면서도 상업성과 예술성의 경계를 허물며, 글로벌 미술 시장에서 동시대 미술의 방향성을 탐색한다.

Japanese artist LY has built a unique style that merges street and fine art. In this session, celebrating LY’s first Korean solo show Singing Birds, LY joins Jonghyo cheong (Chief Curator, Busan Museum of Art) to discuss the artist’s emblematic character LUV. LUV’s minimal, unreadable expression reflects emotional tension and invites audience projection. While rooted in the Superflat aesthetic, LY’s work blurs the boundaries between commercial culture and artistic intent, offering insight into today’s evolving art landscape.

5.10(Sat) 16:30-17:30

홍순명 Hong Soun

모더레이터: 서진석 부산시립미술관장
Moderator: Jinsuk Suh, Director, Busan Museum of Art

Sidescape는 홍순명 작가가 20여년간 탐구해 온 회화 시리즈로 중심과 주변의 고정된 구도를 전복하는 독창적인 미학 개념이다. 이번 아티스트 토크에서 홍순명은 아트부산 2025 출품작을 바탕으로, 중심이 아닌 주변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사유, 기존 질서를 낯설게 만드는 시각적 실험에 대해 이야기 한다.

Sidescape is a long-running painting series by artist Hong Soun, developed over two decades as a unique aesthetic that challenges fixed notions of center and periphery. In this artist talk, Hong will discuss his works presented at Art Busan 2025, exploring visual experiments and perspectives that subvert familiar orders by shifting the gaze toward the margins.

5.11(Sun) 11:30-12:30

강강훈, 조종성

모더레이터: 리빙센스 심효진 편집장

Kang Kang Hoon, Jo Jong Sung

Moderator: Hyojin Sim, Editor in Chief, Living sense

작가 강강훈과 조종성은 서로 다른 회화적 언어로 삶의 내면과 풍경을 마주한다. 강강훈은 섬세한 인물 묘사로 인간의 감정과 존재를 탐구하고, 조종성은 상징적 배경인 밤을 통해 기억과 상상의 공간을 펼친다. 두 작가는 부산 출신은 아니지만, 이 도시에서 자신만의 세계를 구축해왔다. 이번 세션은 리빙센스 심효진 편집장의 진행 아래, 회화가 감정과 공간을 어떻게 담아내는지, 그리고 예술이 삶의 깊은 풍경을 어떻게 드러내는지를 함께 이야기한다.

Kang Kang Hoon and Jo Jong Sung explore inner life and landscape through distinct painterly approaches. Kang captures human emotion and presence through delicate portraiture, while Jo evokes memory and imagination within symbolic nightscapes. Though not originally from Busan, both artists have cultivated their unique artistic worlds in the city. Moderated by Hyojin Sim (Editor-in-Chief, Living sense), this session reflects on how painting gives form to emotion and reveals the deeper landscapes of life.

5.11(Sun) 14:00-15:00

정현 Chung Hyun

모더레이터: 이보배 서울시립미술관 학예연구사

Moderator: Bo Bae Lee, Curator, Seoul Museum of Art

조각가 정현은 침목, 고철, 잡석 등 한때 쓰임을 다한 재료를 통해 인간의 존재를 조형해왔다. 강한 개입 없이 재료와의 조응을 통해 물질의 본질을 끌어내는 그의 작업은, 시간의 흔적과 인간의 정신성을 고요하게 드러낸다.이번 세션은 부산의 역사적 공간 도모헌 야외정원에서 진행 중인 장소특정적 조각 설치를 계기로 마련된 자리로, 서울시립 남서울미술관에서 정현 작가의 개인전 《덩어리》 를 기획한 이보배 학예사가 모더레이터로 참여해, 조각과 재료, 장소, 시간에 대한 예술적 사유를 작가와 함께 나눈다.

Chung Hyun evokes human existence through discarded materials—railroad ties, scrap metal, and stones. Rather than imposing form, he draws out their essence, unveiling traces of time and spirit.This session, set in the outdoor garden of Domoheon, highlights his ongoing site-specific installation. Curator Bo Bae Lee, who organized Jung's solo exhibition Mass at the Nam Seoul Museum of Art, joins him to discuss the interplay of sculpture, material, place, and time.

* 해외연사참여 프로그램의 경우, 현장에서 실시간 통역이 진행됩니다.

* In the case of programs involving overseas speakers, real-time interpretation is provided on site.